대한민국의 교육기관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소속 기관의 벽을 넘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교육 수요자의 교육 기회를 확장하며,
소속 기관들의 서비스의 공유 협력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 소속 기관들의 교육경쟁력을 제고한다.
국제연합체와 연동을 통해 국내 교육기관들의 연합을 넘어서 국제적 교육 자원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국제적 수준의 교육 기회 및 협력 기회를 제공한다.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관리합니다.
처음 사용자는 꼭 읽어보세요.
SICHIMI 소개
교육ID연합(SICHIMI)이란 교육기관 간 서비스 공유 협력을 목적으로 결성된 ID 연합체입니다.
연합체에 소속된 사용자는 소속된 기관에서 발급받은 ID를 사용하여 연합체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ICHIMI는 한국교육정보화재단(KREN)에서 주관하는 교육ID연합체의 공식 이름입니다.
※ 광주전남지역혁신플랫폼(15개), 대전세종충남지역혁신플랫폼(23개), 디지털혁신공유대학 4개 컨소시엄(28개) 중심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여 전국으로 확산해 갈 예정입니다.
SICHIMI는 교육기관 간 ID를 공유하여 다음과 같은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소속 기관 간 공유, 협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민국의 교육기관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소속 기관의 벽을 넘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교육 수요자의 교육 기회를 확장하며,
소속 기관들의 서비스의 공유 협력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 소속 기관들의 교육경쟁력을 제고한다.
국제연합체와 연동을 통해 국내 교육기관들의 연합을 넘어서 국제적 교육 자원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국제적 수준의 교육 기회 및 협력 기회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기관(대학)들은 기관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를 단일 ID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런 단일 ID 개념을 기관의 담을 넘어 다른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ID연합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사용자가 소속된 소속 기관 (예. 대학, 도서관, 연구기관 등)에서 ID를 발급한다.
ID를 발급하는 소속 기관을 IDP (IDP: ID Provider)라고 하며, IDP는 기존처럼 소속원들의 인증을 책임지며,
타 기관 서비스를 위해 인증을 수행할 때는 꼭 필요한 속성 정보를 인증 결과로 타 기관 서비스제공자에게 전달한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 기관 (SP: Service Providers)은 자신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기능을 IDP에게 위임하며 인증 결과
및 필요한 속성 정보를 IDP로부터 제공받아 서비스를 제공한다.
ID연합체는 IDP와 SP들로 구성되며, 사용자 정보 전달을 위해 마련된 절차 및 정책에 동의하여야 한다.
대학은 IDP와 SP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서비스만 제공하는 제3자 서비스제공 기관은 SP에 해당한다.
보통 국가적으로 ID 연합체가 있으며 이런 국가들의 ID 연합체를 상호 연결한 국제적 ID 연합체도 있다.
세계적 ID 연합체 현황은 REFEDS map에서 확인할 수 있다.
eduGAIN 은 이런 국가적 ID연합체를 상호 연결하여 국제적 교육과 연구 협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eduGAIN은 정기적으로 IDP와 SP들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수집하여 참여하는 연합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배포함으로 이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eduGAIN은 연합에 필요한 기술적 구성 요소를 조율하며 ID 연합 간에 정보 교환을 위해 정책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SICHIMI는 향후 eduGAIN에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eduGAIN에 참여하고 있는 연합체의 정보는 eduGAIN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일반 사용자(교수, 직원, 학생, 연구원)
2. ID제공자(Identity Provider: 소속 대학)
3.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